나무는 탄소를 흡수하고, 산소를 생산하며, 생태계를 회복시키는 자연의 해결사입니다. 기후위기가 심화되며 세계 각국, 국제기구, 기업, 시민들이 앞다퉈 나무를 심는 캠페인을 펼치고 있습니다. 이 글에서는 현재 전 세계에서 진행 중인 주요 나무 심기 캠페인을 총정리하고, 그 의의와 실천 방향을 함께 살펴봅니다.
국제기구 주도 캠페인: UN과 글로벌 연대의 힘
국제기구가 주도하는 나무심기 캠페인은 전 지구적 차원에서 기후위기를 대응하고 생물다양성을 회복하려는 목적을 가집니다. 대표적인 예로 UN의 '10억 그루 나무 심기 운동 (Billion Tree Campaign)'이 있습니다. 이 캠페인은 2006년 노벨평화상 수상자인 왕가리 마타이 박사의 제안으로 시작되었으며, UNEP(유엔환경계획)이 주관했습니다.
이후 캠페인은 더욱 확대되어 '트릴리언 트리 캠페인 (Trillion Trees)'으로 진화했습니다. 이는 전 세계적으로 1조 그루의 나무를 심자는 목표로, 다양한 NGO, 기업, 정부가 참여하고 있습니다. 주요 참가 기관으로는 BirdLife International, WWF, Wildlife Conservation Society 등이 있으며, 과학적으로 효과가 입증된 지역에 집중적으로 조림하고 있습니다.
또 다른 국제 연합 프로젝트인 UN Decade on Ecosystem Restoration (2021~2030)도 주목할 만합니다. 이 캠페인은 단순한 조림을 넘어 황폐화된 생태계의 복원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, 그 핵심 전략 중 하나가 바로 토착 수종 중심의 나무 심기입니다.
글로벌 기업의 나무 심기: ESG와 브랜딩 전략
오늘날 기업도 기후위기 대응의 중요한 주체입니다. ESG(환경·사회·지배구조) 경영이 기업의 생존 조건이 되면서, 나무심기 캠페인을 적극 활용하는 브랜드들이 늘고 있습니다.
대표적인 예는 구글, 애플, 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IT 기업들입니다. 이들은 클라우드 서버 운영에 따른 막대한 탄소배출을 상쇄하기 위해 조림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, 탄소중립을 위한 ‘자연 기반 해법’의 일환으로 나무를 심습니다.
예를 들어, 마이크로소프트는 2030년까지 탄소 네거티브(탄소흡수량 > 배출량)를 달성하겠다는 목표 아래, 전 세계에 수백만 그루의 나무를 심는 프로젝트에 투자하고 있습니다.
또한 아웃도어 브랜드인 파타고니아(Patagonia)는 매출의 일정 부분을 환경단체에 기부하며 지역 나무심기 활동을 지원하고 있으며, 이케아(IKEA) 역시 조림 프로젝트와 함께 공급망 내 지속 가능한 목재 사용 확대를 병행하고 있습니다.
이러한 기업 캠페인은 단순한 ‘그린워싱(greenwashing)’을 넘어, 투명한 데이터 공개와 제삼자 검증 시스템을 통해 신뢰를 확보하며, 소비자와의 신뢰 구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줍니다.
시민 주도 캠페인: 당신도 동참할 수 있는 실천
나무 심기는 더 이상 국가나 대기업의 몫만이 아닙니다. 개인과 지역 커뮤니티가 주도하는 시민 중심의 캠페인도 세계 곳곳에서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.
가장 대표적인 캠페인 중 하나는 ‘팀 트리(Tree) 캠페인’입니다. 미국 유튜버 MrBeast와 마크로버가 함께 시작한 이 운동은 1달러당 나무 한 그루를 심는 구조로, 2023년까지 전 세계에 3000만 그루 이상의 나무를 심는 데 성공했습니다.
한국에서도 ‘생명의 숲’, ‘푸른 아시아’, ‘트리플래닛’과 같은 시민단체들이 활발히 활동 중입니다. 이들은 몽골 사막화 방지 조림, 도시숲 조성, 학교 숲 만들기 등을 중심으로 참여형 숲 만들기를 실천하고 있습니다.
또한, '1인 1 나무 심기', '플로깅+식재 캠페인', '디지털 나무 심기 앱'(예: 트리플래닛 앱, 에코로그 등) 등 일상 속에서도 누구나 동참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이 등장하고 있습니다.
시민 캠페인의 장점은 무엇보다 참여 장벽이 낮고, 행동이 빠르며, 인식 전환 효과가 크다는 것입니다. 나무 한 그루를 심는 행동이, 커다란 기후행동으로 연결됩니다.
지구를 살리는 나무심기 캠페인은 이제 전 세계적으로 ‘보편적 실천’이 되었습니다. UN, 글로벌 기업, 시민 누구나 각자의 자리에서 나무를 심고 있습니다. 중요한 것은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의미 있는 장소에, 적절한 수종을, 지속적으로 관리하며 심는 것입니다. 지금 이 순간, 당신도 지구를 위한 나무 한 그루를 심어 보세요.